서울시가 봄철 관경병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
생후 3개월 이상의 개·고양이 대상이며, 거주지 인근 지정 동물병원에서 선착순으로 접종합니다.
지원대상
- 3개월령 이상의 반려동물(개, 고양이) 대상.
- 동물등록이 되어야 지원가능하므로 동물등록증이나 인식표지참
- 고양이는 동물등록 의무대상이 아니기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가능.
지원시기
- 4월 16 ~ 4월 30일까지.
어디에서?
- 거주지 인근 지정 동물병원을 방문해 시술료 1만 원을 지불 후 광견병 예방접종.
- 동물병원 확인은 관할구청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 동물병원별로 배부된 백신이 모두 소진됐을 경우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방문전 확인 필수.
봄철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 기간 : 2025. 4. 16. ~ 4. 30.
○ 장소 : 지정 동물병원 (구청 홈페이지 참조)
○ 접종비용 : 10,000원(예방접종료) 예방 백신약 무료
○ 접종대상 : 생후 3개월 이상의 반려동물 (개, 고양이)
※ 반려동물의 경우 동물등록을 해야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가능
○ 문의 : 관할구청(동물보호·가축방역 담당부서), 다산콜센터 02-120
동물등록신고
○ 등록대상 : 2개월령 이상의 반려견
※ 고양이도 희망 시 내장형 등록 가능
○ 등록방법 : 가까운 동물등록 대행기관(동물병원) 방문·신청
○ 등록방식 1.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 2.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장착
○ 문의 : 관할구청(동물보호·가축방역 담당부서), 다산콜센터 02-120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접종 Q&A
Q.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A. 광견병은 감염 동물에게 물려서 생기는 질병으로, 사람과 동물의 뇌와 척수에 염증을 유발하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병입니다. 일단 증상이 발생하면 치료할 방법이 없어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정기적인 백신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Q. 광견병 예방접종의 주기는?
A. 생후 3개월부터 접종을 시작하여야 하며, 매년 1회씩 보강 접종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라 예방접종으로 얻는 이익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접종 전 수의사의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Q. 광견병 예방접종의 부작용은 없는가?
A. 모든 예방접종에서 그렇듯 광견병 예방접종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식욕부진, 기력 저하, 발열, 주사 부위 염증으로 대부분 수일 내 호전되나, 드물게 급성 과민반응 증상(구토,설사,호흡곤란,부종)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