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서울시 청년 마음 건강 사업 신청기간, 신청대상

by 인생은 영화처럼 2025. 4. 10.

 

 

 

서울시는 우울 불안 등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 '2025년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2차 참여자 2,500명을

모집합니다.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이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대상으로 과학적 진단에 기반한 맞춤형 심리상담(최대 10회)과 후속 관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변화하고 싶은 나의 모' 을 토대로 이를 실현해 나갈 방안을 스스로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신청기간

  • 2025년 4월 14일(월) 10시 ~ 4월 17일(목) 17시

 

신청방법

 

신청대상

  • 만 19세~39세 서울 거주 청년 중 심리지원이 필요한 청년(1985년생~2006년생)
  •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경우, 군 복무기간에 따라 최대 3년 연장 지원

 

신청자격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고
  • 아래 연령 조건을 충족하는 자
구분 지원대상
일반청년 만 19세~39세(1985년생~2006년생)
의무복무제대군인 1년 미만 복무 만 40세(1984년생)까지
1년 이상 ~2년 미만 복무 만 41세(1983년생)까지
2년 이상 복무 만 42세(1982년생)까지

 

지원내용

최종 선정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사전검사는 간이정신진단검사(KSCL95)와 기질·성격검사(TCI)를 활용해 진행됩니다.

상담은 온라인 사전검사 결과에 따라 일반군, 도움군, 잠재임상군, 임상군으로 나뉘며, 기본 6회(회당 50분) 진행된다. 사전검사와 상담 결과를 종합해 위기군(잠재임상군, 임상군)으로 확인된 경우 추가 상담 4회를 더해 총 10회의 상담을 지원한다. 상담은 빠르면 5월부터 받을 수 있다.

 

마음회복 효과에 대한 임상적 평가와 청년의 주관적 효과성 평가 병행 실시

한편, 서울시는 마음건강 상담 효과를 다각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올해부터 임상적인 효과성 평가와 함께 참여 청년의 주관적 효과성 평가를 병행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임상적 효과성 평가는 정신건강의학적 평가 척도를 기반으로 상담 참여 전-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등 긍정 정서가 향상된 정도와 우울감, 불안감 등 부정 정서가 감소된 정도를 과학적으로 측정·분석하는 것.

청년의 주관적 효과성 평가는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기존에도 참여자가 체감하는 효과에 대한 설문이 진행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상담을 계기로 삶을 변화시킬 동기를 갖게 되었는지’, ‘상담이 청년이 변화된 삶의 모습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등을 추가해 사업효과 평가 시 반영합니다.

 

결과발표

  • 2025. 4. 18. 17:00 ‘청년몽땅정보통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