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간 금융 브리핑] 2025년 4월 둘째 주: 미중 무역갈등과 글로벌 경제지표 집중 분석

by 인생은 영화처럼 2025. 4. 7.

 

 

 

 

최근 국제 금융 시장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그리고 주요국 통화정책 등이 이번 주 금융 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4월 둘째 주에 주목해야 할 주요 이슈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트럼프 관세 본격 발효…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

지난 4월 5일,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10% 기본관세가 공식 발효되었고, 4월 9일부터는 상호관세 조치도 이어질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미국은 물론 글로벌 주식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 미국 증시는 발표 직후 -9.9% 하락
  • 달러 약세국채 금리 하락
  • 추가 품목 관세(반도체, 농산물 등) 가능성 있음

중국은 4월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며, EU 또한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 미국 3월 소비자물가·생산자물가 발표 예정

4월 10일에는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1일에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됩니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번 발표가 연준의 금리정책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CPI 예상: 2.6% 내외 (전년 동월 대비)
  • 근원 CPI: 3.1% 수준
  • PPI는 지난달 3.2% → 추가 둔화 여부 주목

📊 FOMC 의사록 공개 및 연준 인사 연설

4월 9일에는 연준의 3월 FOMC 회의록이 공개됩니다. 연속 금리 동결, 성장률 하향, 인플레이션 상향 등 세부 내용에 관심이 모입니다.

또한 로건, 데일리, 바킨 등 주요 연준 인사들의 연설도 예정되어 있어 연준의 향후 스탠스를 엿볼 기회입니다.

💡 소비심리와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도 중요 포인트

4월 11일 발표될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는 3월 기준 57.0으로 최근 저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에도 추가 하락할 경우 연준의 정책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5.0%까지 상승한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 미국 어닝 시즌 개막 – 대형은행 실적 발표 주목

미국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본격 시작됩니다. 특히 JP모건, 모건스탠리, 웰스파고 등 주요 대형은행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금융주 흐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S&P500 평균 이익 증가율: 7.3%
  • 대형 은행 평균 이익 증가율: 2.6%

🌏 아시아 주요국 통화정책 및 물가 동향

  • 중국: 3월 CPI 및 PPI 발표 (디플레이션 우려)
  • 일본: 3월 PPI 동반 발표
  • ADB 성장률 발표: 한국 2.0%, 중국 4.5%, 인도 7.0%
  • 인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 뉴질랜드: 금리 인하 사이클 지속 중
  • 필리핀: 4월 10일 기준금리 발표 예정

✅ 마무리: 투자자들이 주의 깊게 봐야 할 포인트

이번 주는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있어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역갈등, 인플레이션 흐름, 통화정책 변화, 기업 실적 발표 등 복합적 이슈가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핵심 요약:

  • 트럼프 관세 발효 및 미중 무역 갈등 주목
  • 미국 CPI/PPI, 소비심리 지표로 연준 정책 예측
  • 대형은행 실적 발표 주목
  • 아시아 주요국 금리 및 성장률 발표 집중

투자자와 금융 종사자 모두 이번 주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와 구독 🌟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의견은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