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중순, 전 세계 금융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EU와의 관세 협상, 고금리 기조, 중국 경기 부양책 등으로 인해 복합적인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지표부터 정책 발언, 지역별 경제 이슈까지 지금 가장 중요한 글로벌 금융 트렌드를 정리해드립니다.
🇺🇸 미국: 트럼프의 강경 무역정책과 금리 동결 기조
- 트럼프 대통령은 EU와의 추가 무역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한편, 협상이 실패할 경우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 러시아에는 우크라이나와 평화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시 최대 100%의 이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경고를 날렸습니다.
-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을 언급하며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 주가: S&P500지수는 대형 은행 실적 기대감으로 소폭 상승(+0.14%)
- 국채금리: 미국 10년물 금리는 4.43%로 상승(+2bp)
🇪🇺 유럽연합: 보복관세 경고와 ECB의 딜레마
- EU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 실패 시 720억 유로 규모의 보복관세를 경고했습니다.
- ECB는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금리인하 종료를 시사했으나, 트럼프의 관세 압박으로 추가 인하 가능성도 부상 중입니다.
- 유로 Stoxx600지수는 0.1% 하락, 유로화 가치도 소폭 절하(-0.21%)
🇨🇳 중국: 수출 증가와 신규대출 급증
- 중국의 6월 수출은 3251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8% 증가, 시장 예상(5.0%)을 상회했습니다.
- 신규 위안화 대출은 2.24조 위안으로 전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 이는 미국 관세정책 대응과 경기 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 일본: 무역협상 난항과 물가전망 상향
- 일본은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자동차 부문 우대 관세를 제안했으나 미국 측은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 일본은행(BOJ)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를 반영하여 물가전망을 상향 검토 중입니다.
📈 금융지표 요약
- 💵 달러지수: 98.10 (+0.26%)
- 🇰🇷 원/달러 환율: 1381.2원 (전일 대비 -0.42%)
- 📉 VIX(변동성지수): 17.2 (+4.88%) → 불확실성 확대
- 🛢️ WTI 유가: 66.98달러 (-2.15%)
- 📊 한국 CDS: 25bp (1bp 하락) → 국가 신용위험 안정
📌 글로벌 이슈 요약
- 📉 일본 등 주요국 장기 국채금리 상승 → 재정 지출 확대 우려
- 💱 암호화폐의 가격 급등 → 전통 은행 보호 규제 강화 필요성 제기
- 📉 미국 소형은행의 대출 증가율 둔화 → 실물경기 위축 우려
🔮 향후 전망
트럼프의 강경 노선이 지속될 경우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갈등이 본격화될 수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및 금리 방향에도 중대한 영향을 줄 것입니다.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유럽의 방어적 대응은 각각의 환율, 무역, 자산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변동성 확대를 염두에 둔 신중한 자산배분과 지역 분산투자 전략이 중요할 것입니다.